서른살
한해가 접어드는 마무리 시점이 되면서
30대 중반의 하루키가 그러했듯,
20대의 후반의 나도 머지않아 오게 될 30살의 나를 생각해본다.
인생의 매 순간 순간이 모두 중요하겠지만
나에게는 30살이라는 나이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고비가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그때 어떤 씨를 뿌리느냐에 따라 인생의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30살의 나는 과연 무엇이 되어 있으며, 어떻게 살고 있을까?
나는 내 나이에 달성해야 할 일들을 부끄럽지 않게 모두 달성할 수 있을까?
....
마흔 살이라는 나이는 우리의 인생살이에서 꽤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인생의 고비가 아닐까 하고, 나는 오래전부터 줄곧 생각해왔다. 특별히 뭔가 실제로 근거가 있어서 그렇게 생각한 건 아니다.
또는 마흔 살을 맞이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일인지 미리 미리 예측하고 있던 것도 아니다. 하지만 나는 마흔살이란 하나의 큰 전환점이어서, 무엇인가를 선택하고 무엇인가를 뒤에서 남겨두고 가는 때가 아닐까, 하고 생각했다. 그리고 일단 그런 정신적인 탈바꿈이 이루어지고 난후에는 좋든 싫든 다시 돌이킬 수 없다. 시험해 보았지만 여전히 마음에 들지 않으니 다시 이전의 상태로 돌아갑니다, 라고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세월이란 앞으로만 나아가는 톱니바퀴라고 나는 막연히 그렇게 느끼고 있었다.
정신적인 탈바꿈이란 어쩌면 이런 것이 아닐까, 하고 나는 생각했다. 마흔 살이란 분수령을 넘음으로써, 다시말해서 한 단계 더 나이를 먹음으로써, 그 이전까지는 불가능했던 일들이 가능하게 될지도 모른다. 물론 그것은 그 나름대로 멋진 일이다. 하지만 동시에 이렇게도 생각했다. 새로운 것을 얻는 대신에 그때까지의 비교적 쉽게 할 수 있었던 일을 앞으로 할 수 없게 되어버리는 것은 아닐까 하고
그것은 예감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30대 중반을 지날 무렵부터 그 예감은 나의 몸속에서 조금씩 부풀어 갔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변화가 오기 전에, 즉 내 자신 속에서 정신적인 탈바꿈이 이루어지기 전에 뭔가 한가지 보람 있는 일을 남기고 싶었다. 아마도 나는 이제 더이상 이런 종류의 소설은 쓰지 않을것이다(쓸 수 없을 것이다), 라고 할 만한 작품을 써놓고 싶었다. 나이를 먹는 것은 그다지 두렵지 않았다. 나이를 먹는 것은 내 책임이 아니다. 누구나 나이는 먹는다. 그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내가 두려웠던 것은 어느 한 시기에 달성해야 할 무엇인가를 달성하지 않은채로 세월을 헛되이 보내는 것이다. 그건 어쩔 수 없는 일이 아니다.
그것도 내가 외국으로 나가려고 생각한 이유중에 하나였다. 일본에 있다가는 일상생활에 얽매여서 그냥 속절없이 나이만 먹어버릴 것 같았다. 그리고 그러는 동안에 무엇인가를 잃어버릴것만 같은 생각이 들었다. 나는 말하자면 정말로 생생하게 살아 있음을 실감할 수 있는 시간을 갖고 싶었지만, 그런 생활은 일본에서는 불가능할 것처럼 느껴졌던 것이다.
....
무라카미 하루키, <먼 북소리> 중에서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