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쳐붐이라는게 한참 불고 있을 때 나는 고작 대학교 1~2학년쯤이었을 것이다. 비록 대학생이었지만, 그 때 나는 운좋게도 그 뜨거웠던 벤쳐붐을 몸소 느낄수 있었다. 대학교 1학년 방학동안 컴퓨터에 꽤 관심을 갖고 있었던 나는 HTML과 XML이란 markup language 라는 것을 배웠고, 정말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벤쳐회사에 알바로 취직하여 홈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었다. 지금 내 나이에 다시 돌아보면, 정말 애송이 같은 아이가 여의도에서 나이 많은 아저씨들과 같이 일을 했던 것이다. 인터넷 벤쳐회사의 구인 공고를 보고 전화를 걸어 면접 일정을 잡고 면접을 보러가던날, 그 회사 직원이었던(나중에는 친하게 지내게되었던) 분께 홈페이지가 있냐는 질문을 받았고, 난 바로 방학동안 심심풀이로 만들었던 내 홈페이지를 보여주었다. 그때 내가 만들었던 홈페이지의 첫 화면에는 어설프게 포토샵으로 내사진 중에서 얼굴만 잘라 어느 몸짱 배우 사진의 몸에 붙였던 사진이 나오던 홈페이지였다. 물론 그때는 뽀샵이라는 용어가 나오기 전이었고, 그래서 유치했지만 내가 만든 홈페이지가 그 회사 직원들에게 먹혔던것이다. 물론 그 회사에서는 내가 HTML 에디터를 쓰지않고 직접 HTML 코드 작성이 가능하고, 그 당시 많이 사용하던 인터넷 브라우저인 MS Internet explorer와 Netscape에서 모두 호환가능하게 코드를 짤 수 있다는 말도 나를 뽑았던 이유 중에 하나였을 것이다. 또한 그 당시에는 인터넷 Bandwidth가 그리 높지 않은 시절이라 HTML 코드도 가볍게 짜고 최소한 이미지를 줄이는 HTML 코드 작성 기법이 선호되던 때였다. 지금과 비교했을때는 인터넷 기술과, 통신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을 당시 쌍방울 홈페이지를 만들었었고, 검수날 쌍방울 전속배우였던 유동근의 계약이 끝났다는 이유로 부랴부랴 사진을 바꾸었었던 그런 기억이 난다. 그랬던게 엊그저께 같은데, 시간은 너무 빨리 흐르...
동호대교에서 사진을 찍고, 욕심을 낸 김에 청계천까지 왔다. 한 번쯤은 오게 될줄은 알았지만 오늘일 줄이야.. 사진을 찍으면 찍을수록 추운데 괜히 나왔다라는 후회와... 대포같은 렌즈를 단 카메라를 들고 스쳐지나 가는 사람을 보니 나도 렌즈가 더 좋았으면 이라는 생각도 들고, 삼각대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여유롭게 사진찍는 사람을 보니, 나도 삼각대가 있어서 흔들림 걱정없이 찍으면 좋겠다라는 생각도 들고... 어여쁘신 모델과 같이 나와 찍는 사람들을 보니, 나도 모델이 있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던 하루다. 동대문 앞.. 뭔지 모르지만 그냥 찍어봤음 동아일보옆 루미나리에 장식 동아일보옆 루미나리에 장식 동아일보옆 루미나리에 장식
아파트를 처음 구매하려면 신경쓸 것이 한두가지가 아니겠지만, 그 중에서도 신경쓰이는 것 중에 하나는 소유권이전 등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잔금이야 어짜피 준비가 가능하니까 집을 구매하는 것일테고, 부동산이야 전세를 구하기 위해서도 여러번 드나든 경험도 있고, 부동산수수료도 정해진 규칙이 있어서 부동산 간에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그때까지는 걱정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등기를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처음 떠오르는 것은 "왜 등기를 해야하지?"라는 의문에서부터 도대체 "등기는 누구에게 맡겨야하나?" 하는 수많은 질문이 떠오르기 시작한다. 그래서 부동산 사장님께 "그냥 아는분 소개시켜주세요"라고 부탁하고 나서, 등기관련해서 인터넷을 찾아보면.... 부동산에서 소개받은 법무사에게 등기를 하면 알게 모르게 실제 비용보다 더 지불하게 된다고 쓰여져 있어서, 왠지 그냥 법무사에게 맡기면 호구가 되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물론 그런건 아니라고 생각하며, 또한 시간과 노력 측면에 들어가는 비용을 생각하면 당연히 지불해야 하는 금액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나는 고심끝에 스스로 셀프 등기를 하기로 결정했다. 처음에는 등기가 뭔지도 모르기 때문에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걱정되었는데, 다른 분들이 정리해 놓으신 주옥같은 블로그 글들을 보고 또 보고 공부하면서 결국은 셀프 등기에 완료하였다. 셀프 등기를 마치고 드는 느낌은, 정부 시스템이 생각보다 잘되어 있어서 어렵지 않고, 어려운 내용이 있으면 등기소에 전화하거나 인터넷을 잘 찾아보면 막히는 것 없이 쉽게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준비할때는 이것저것 준비해야한다는 부담감때문인지 스트레스를 받기도 했지만, 막상 등기를 하러가서 10분만에 등기소를 나올때는 정말 홀가분한 기분과 뿌듯한 마음이었다. 게다가 다행이도, 처음 연락한 법무사가 해주신 견적 대비 약 30만원 정도 비용이 절감(물론 그분이 정확한 견적은 아...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