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내가 열여섯 살이 되자, 엄마가 내게 백만달러를 벌 수 있다고 말한다. 내가 "원한다면" 말이다. 나는 엄마의 말을 믿었다. 엄마의 말에서 돈의 액수는 중요하지 않았다. 내 마음을 움직인 구절은 내가 뭔가를 원한다면 그것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략> 노숙생활이라는 사막을 헤매고 난 뒤, 엄마가 말해준 약속의 땅을 찾고 난 뒤, 그리고 수백만 달러를 벌고 난 뒤에야 그 두가지 일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빨간색 페라리 주인을 만남으로써 내가 정진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알았고, 그 일을 "어떻게" 하는지도 알았다. 하지만 내가 정한 목표가 무엇이든 그것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준 것은 어렸을 적 엄마가 들려준 그 선언이었다. <책, 행복을 찾아서> 중.. 요즘은 가끔 뒷북을 치는게 취미인가보다... 윌 스미스와 그의 아들이 나왔다는 것만으로도 화제가 되었던 "행복을 찾아서(The pursuit of happyness)"가 한참 극장에서 상영되고 있을때는, 그리고 포스터가 여기 저기 붙여있어 고개만 돌려도 쉽게 볼 수 있었던 때에는 영화 내용도, 심지어는 그런 영화가 있었는지조차 알지도 못하다가, 뒤늦게 영화를 보고 나서, 감명깊다고 책까지 사서 읽어보니 말이다... 태생적으로 불운을 타고 난것 같은 주인공 크리스 가드너는 자신의 아버지가 누군지도 모르며, 양아버지 밑에서 폭력과 핍박을 받는 불운한 가정에서 자란다. 그마나 위안이라고는 자신에게 희망을 불어주는 어머니가 있다는것.. 해군 의무병으로 제대를 하고 실력을 인정받아 연구소에서 괜찮은 직업을 얻기는 하지만 타고난 가난과 한계때문에 여러가지 문제에 걸려들게 된다. 이혼을 하고, 사귀던 여자친구와 헤어지게 되며, 집세을 낼 수 있을 정도로 경제적 여유가 없다는것... 하지만 자...